[네트워크] TCP/IP 는 무엇일까
저번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국제 통신 모델인 OSI 7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OSI 7 계층의 3, 4 계층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통신규약 모음 (Internet Protocol Suite)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부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통신규약(프로토콜) 모음 을 인터넷 프로토콜...
저번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국제 통신 모델인 OSI 7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OSI 7 계층의 3, 4 계층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통신규약 모음 (Internet Protocol Suite)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부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통신규약(프로토콜) 모음 을 인터넷 프로토콜...
이 포스트는 백준 사이트의 로봇 청소기 문제 풀이입니다. 문제 코드 구현 문제에 주어진 로봇 청소기의 작업 순서를 코드에 그대로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. 먼저, 현재 위치에서 is_dirty_tiles_left() 함수를 실행하여 지금 해야하는 작업을 실행합니다. 그리고 변경된 위치를 작업 큐에 넣는 것을 반복하여 큐가 빌 때 까지 반복...
자료형을 변환할 때, C 언어는 암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 2가지가 존재합니다. 간략하게 설명하면 암시적 형변환은 컴파일러가 대신 수행하는 형변환이고 명시적 형변환은 반대로 프로그래머가 직접 형변환을 수행하는 것입니다. int i_num = 3.14; // 암시적 double d_num_01 = double(i_...
코딩테스트 연습 - 여행 경로 문제 바로가기 문제 해결 방법 문제 조건에서 주어진 티켓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고 보장하였으므로 완전 탐색 중 깊이 우선 탐색(DFS)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. 탐색을 진행하기 전, 티켓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용한 공항을 기록하고자 하였습니다. 문자열을 key 값으로 한 해시 ...
이진 트리의 약점 이전 포스트에서 이진 트리에 대해 설명했었습니다. 그리고 이진 트리의 약점으로 모든 노드가 1개의 자식만 갖게되어 일렬로 만들어진 트리가 있었습니다. 이 트리의 이름은 편향 이진 탐색 트리라고 부릅니다. [편향 이진 탐색 트리] 이러한 트리를 개선하고자 만들어진 자료 구조가 균형 이진 탐색 트리 입니다. 이진 트리가 균...
자료형을 변환할 때, C 언어는 암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 2가지가 존재합니다. 간략하게 설명하면 암시적 형변환은 컴파일러가 대신 수행하는 형변환이고 명시적 형변환은 반대로 프로그래머가 직접 형변환을 수행하는 것입니다. int i_num = 3.14; // 암시적 double d_num_01 = double(i_...
이 포스트는 백준 사이트의 치킨 배달 문제 풀이입니다. 문제 첫 번째 시도(실패) 여러 개의 치킨 가게 중 M 개만 선택하였을 때, 도시의 치킨 거리가 최소인 경우를 구해야 합니다. 여기서 M 개의 가게 선택을 위해 조합을 사용하고 조합으로 선택된 가게들에서 집들까지의 최소 거리를 반복해서 갱신해 정답을 구하고자 하였습니다. #inc...
네트워크 통신을 공부하다 보면 자주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OSI 7 계층 이라는 단어입니다. 이번 포스트에서는 OSI 7 계층이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TCP/IP 4계층 모델은 무엇인지 정리해보겠습니다. OSI 란? OSI 7 계층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(ISO)에서 수립한 통신 모델로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응용, ...
코딩테스트 연습 - 정수 삼각형 문제 바로가기 문제 설명 삼각형의 위쪽 꼭지점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각 숫자를 합해 가장 큰 숫자를 만드는 문제입니다. 이 문제는 그림을 그렸을 때, 이진 그래프처럼 보이는 문제이지만 그래프를 만들 필요도 없이 메모이제이션 기법으로 간단하게 풀 수 있습니다. 시간 복잡도 실패 처음 문제를 접근할 때...
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(나동빈 저) 를 참고해 작성한 포스트입니다. 이전 포스트 에서 다익스트라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.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의 최단 경로를 빠르게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 이였습니다. 만약 그래프에 존재하는 N 개의 점이 서로의 최단 경로를 모두 알고 싶다면...